- 성신여자대학교 복식박물관, 서울 강북구
한국복식 변천사
우리 옷은 북방계 복식권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북방계 복식이란 유와 고인 상의와 하의를 기본으로 하는 분할형 양식으로, 유라시아 대륙 초원지대에서 활약하던 스키타이인(scythian:기원준 7~3세기)을 비롯한 기마유목민의 복장이었으며 추운 기후 풍토와 유목생활에 적합한 기능적인 형태이다.
우리 민족이 최초로 북방계 복식을 착용한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고 있다. 이것은 현재까지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이며, 여기서 보이는 우리 복식의 기본형은 위는 저고리, 아래는 바지나 치마, 겉에는 포를 입고 머리에는 관모를 쓰며 허리에는 띠를 매어 추운 지방의 의복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수렵・농경생활에 편리하게 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고유복식에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 발전되어 오늘날의 한국복식으로 정착하기에 이르렀다.
1. 출퇴근, 산책, 운동, 관람, 여행을 떠난다.
2. 수어로 설명하면 좋을 것같은 안내문이 있는지 살핀다.
3. 스마트폰으로 안내문을 촬영한다.
4. 개인 SNS에 올린다. 해시태그 #QR수어 #큐알수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컨택센터, 이메일 hello@signconnect.me
2. 수어로 설명하면 좋을 것같은 안내문이 있는지 살핀다.
3. 스마트폰으로 안내문을 촬영한다.
4. 개인 SNS에 올린다. 해시태그 #QR수어 #큐알수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컨택센터, 이메일 hello@signconnect.me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