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서울 마포구

‘위안소’ 형태

‘위안소’ 건물은 일본군이 지정한 지역의 가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방이 여러 개 필요했기 때문에 학교나 사원 등의 건물을 이용하기도 했다. 천막과 막사도 사용되었으며 직접 군대가 신축하기도 했다. 급박한 전쟁 상황에서는 동굴이나 방공호 등에서 여성들을 강간했다. ‘위안소’ 내부는 보통 칸막이로 나뉘어진 작은 방 안에 간단한 침구를 두거나 요를 깔았으며 씻을 수 있는 대야 등이 놓였다. 전선에 가까운 ‘위안소’일수록 보다 간소하고 열악한 모습을 지녔다. ‘위안부’여성들은 한 ‘위안소’에서 계속 머무르기도 하는 한편 특정 부대를 따라 전선 각지를 이동하거나 ‘위안소’가 없는 전선 부근 부대를 위해 순회하기도 했다.

1. 출퇴근, 산책, 운동, 관람, 여행을 떠난다.
2. 수어로 설명하면 좋을 것같은 안내문이 있는지 살핀다.
3. 스마트폰으로 안내문을 촬영한다.
4. 개인 SNS에 올린다. 해시태그 #QR수어 #큐알수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컨택센터, 이메일 hello@signconnect.me